티스토리 뷰
문제
N×M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.
1 | 0 | 1 | 1 | 1 | 1 |
1 | 0 | 1 | 0 | 1 | 0 |
1 | 0 | 1 | 0 | 1 | 1 |
1 | 1 | 1 | 0 | 1 | 1 |
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을 나타내고,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을 나타낸다. 이러한 미로가 주어졌을 때, (1, 1)에서 출발하여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,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.
위의 예에서는 15칸을 지나야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. 칸을 셀 때에는 시작 위치와 도착 위치도 포함한다.
입력
첫째 줄에 두 정수 N, M(2 ≤ N, M ≤ 1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.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출력한다. 항상 도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.
문제 풀이
이 문제는 BFS로 풀었다. 미로 탐색이나 최단거리를 구할 때는 BFS를 사용해야 한다.
[nextX][nextY]는 [x][y]에서 1칸 떨어진 것이므로 visit[x][y]의 값에서 1을 더한다.
그러면 visit라는 배열 안에는 시작점으로 부터 몇 칸을 지나왔는지?에 대한 값이 저장된다.
최종 목적지인 [N][M]의 지점에는 총 이동 거리가 저장된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67
68
69
70
71
72
73
74
75
76
77
78
79
80
81
82
83
84
85
86
|
#include<stdio.h>
#define MOD 10000
#define SZ 101
int i, j, N, M;
int map[SZ][SZ];
int visit[SZ][SZ];
struct node {
int x;
int y;
};
struct node queue[MOD + 1];
int tail = 0;
int head = 0;
int max = 0;
int vectX[4] = { 0,0,1,-1 };
int vectY[4] = { 1, -1, 0, 0 };
struct node deque() {
struct node temp = queue[head];
head = (head + 1) % MOD;
return temp;
}
int isQueEmpty() {
if (head == tail) {
return 0;
}
return 1;
}
void enque(int x_, int y_) {
struct node temp;
temp.x = x_;
temp.y = y_;
queue[tail] = temp;
tail = (tail + 1) % MOD;
}
void do_BFS() {
int nextX;
int nextY;
while (isQueEmpty() == 1) {
// 다음 방문할 노드 : [nextX][nextY]
struct node k = deque();
for (i = 0; i < 4; i++) {
nextX = k.x + vectX[i];
nextY = k.y + vectY[i];
//방향값 확인
if (nextX >= 1 && nextX <= M && nextY >= 1 && nextY <= N) {
// [nextX][nextY]까지 가는 길이 있고 한번도 방문하지 않은 노드인 경우 => queue에 넣는다.
if (map[nextX][nextY] == 1) {
if (visit[nextX][nextY] == 0) {
//[x][y] 에서 [nextX][nextY]까지 가는데 걸리는 노드 개수
visit[nextX][nextY] = visit[k.x][k.y] + 1;
enque(nextX, nextY);
}
}
}
}
}
}
int main() {
scanf("%d %d", &M, &N);
for (i = 1; i <= M; i++) {
for (j = 1; j <= N; j++) {
scanf("%1d", &map[i][j]);
}
}
visit[1][1] = 1;
enque(1, 1);
do_BFS();
printf("%d\n", visit[M][N]);
}
|
'알고리즘 > 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알고리즘 11403번 경로 찾기 C언어 (0) | 2019.09.17 |
---|---|
백준 알고리즘 7576번 토마토 C언어 (0) | 2019.09.17 |
백준 알고리즘 2667번 단지 번호 붙이기 C언어 (0) | 2019.09.17 |
백준 알고리즘 1987번 알파벳 C언어 (0) | 2019.09.17 |
백준 알고리즘 1012번 유기농 배추 C언어 (0) | 2019.09.17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실시간 데이터베이스
- 웹 배포
- django 게시판
- django pythoneverywhere
- django clean
- CellForRowAt 호출안됨
- Realtime Database
- django 태그
- UITableViewController Not Working
- Django
- ModelForm Form 차이
- pythonanywhere배포
- 까만 화면
- iOS UITableView 출력안됨
- iOS 데이터베이스
- 데이터베이스 추천
- iOS 검은 화면
- CellForRowAt Not Called
- django 로그인접근
- django tag
- pythonanywhere배포방법
- cleaned_data
- 장고 태그달기
- django 개발일지
- 장고 게시판
- 알파벳 카운팅
- 테이블출력안됨
- Firebase 데이터베이스 추천
- python 웹 배포
- iOS 화면 안나옴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